부스트코스에서 진행한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CS50 2019)'을 수강한 뒤 작성한 내용입니다.
몰랐던 내용을 위주로 정리했기 때문에 빠진 부분이 많을 수 있습니다.
1. 이진법
트랜지스터 : 컴퓨터 내의 작은 스위치. 물리적으로 이용하여 정보를 표현하고 값을 저장
2. 정보의 표현
ASCII코드 : 영문만 표현, 8비트 사용
유니코드 : ASCII코드의 상위집합. 최대 32비트 사용
점(픽셀)은 RGB로 표현
3. 알고리즘
함수는 '동사'와 같다.
함수 외에도 조건 Boolean, loop 등이 알고리즘에 사용된다.
- 미션 중 궁금했던 점
내 컴퓨터는 레지스터가 64비트이므로, 한번에 2의 64승의 바이트를 처리할 수 있다. 라고 적은 부분이 있습니다. 왜 2의 64승의 비트가 아니라 바이트인지가 궁금합니다.
→ 여러분이 이해하신 것처럼 최근 컴퓨터는 64비트 레지스터를 사용하며 이는 한 번에 2의 64승의 비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10101111.... 의 길이가 64라는 것입니다. 1 바이트는 8비트를 의미하기 때문에 64비트 레지스터를 8바이트 레지스터라고도 합니다. 자료를 찾는 과정에서 오타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