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in : 여러 개의 테이블에 있는 컬럼들을 하나의 결과 값으로 보고자 할 때 사용

ex) 이름, 부서위치를 출력한다.

from emp, dept

    - where 조인을 하기 위한 조건(emp와 dept의 다리 역할을 한다)

  • equi join : 조인하려는 두 테이블 사이의 연결고리가 같은 경우
select e.ename, d.loc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 = d.deptno;

    - from 절에서 테이블 별칭으로 e, d 를 정해줬기 때문에 다른 문장에서도 e와 d 를 사용해야 한다. 

 

  • no equi join : 조인 조건이 =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non equi join이다.
    emp 테이블과 salgrade 테이블을 조인해서 이름, 월급, 등급을 출력한다.
select e.ename, e.sal, s.grade
from emp e, salgrade s
where e.sal between s.losal and s.hisal;

    - emp 테이블의 월급은 salgrade 테이블의 가장 작은 값인 700과 가장 큰 값인 9999 사이에 있다.

 

  • ntile 함수 : 등급을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함수
select ename, sal, ntile(4) over(order by sal desc)grade
from emp;
 

    - sal 을 높은 순서대로 25%씩 4등급으로 나눈다.

 

  • 3개의 테이블 조인 : 조인 조건이 두 개가 필요하다.
    ex) 이름, 부서위치, 월급, 급여 등급을 출력한다.
select e.ename, d.loc, e.sal, s.grade
from emp e, dept d, salgrade s
where e.deptno = d.deptno and e.sal between s.losal and s.hisal;

    - dept ↔ emp ↔ salgrade 로 연결

 

  • outer join : equi join으로 조인했을 때 볼 수 없는 결과를 볼 때 사용(+)
    ex) 부서위치, 부서위치별 월급의 총합을 출력한다.
select d.loc, sum(e.sal)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 = d.deptno 
group by d.loc;

    - 부서번호 40번이 emp 테이블에 없어서 dept 테이블의 BOSTON 이 출력되지 않는다. BOSTON 이 출력되게 하려면 outer join을 사용해야 한다.

 

ex)

select d.loc, sum(e.sal)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 (+)= d.deptno
group by d.loc;

    - 부족한 쪽에 (+) 를 써준다. (emp 테이블에 40번이 없기 때문에 emp 테이블의 data 가 부족한 것이다)

    - 만약 deptno 테이블의 data 가 부족하다면 e.deptno = d.deptno(+) 로 써준다.

 

  • self join : 자기 자신의 테이블과 조인하는 문법

from emp 사원, emp 관리자

 

  • 1999 ansi 조인 문법
    1) using 절을 사용한 조인
    2) on 절을 사용한 조인
    3) natural join
    4) left / right / full outer join
    5) cross join
  • on 절을 사용한 조인
select e.ename, d.loc
from emp e join dept d on(e.deptno=d.deptno);

  • using 절을 사용한 조인 문법
select e.ename, d.loc
from emp e join dept d using(deptno);

    - using 안에 연결고리가 되는 컬럼을 입력한다.

    - using 안에 별칭을 입력하면 안된다( ex) using(e.deptno) )

 

  • natural 조인 문법 : 알아서 연결고리인 컬럼을 찾아 조인을 수행한다.
select e.ename, d.loc
from emp e natural join dept d;

 

  • left / right / full outer join
    - left outer join : 오른쪽 테이블에 조인 할 컬럼의 값이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 right outer join : 왼쪽 테이블에 조인 할 컬럼의 값이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ex) 오라클 조인 문법과 비교
select e.ename, d.loc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d.deptno;

    ex) 1999 ANSI 조인 문법

select e.ename, d.loc
from emp e right outer join dept d
on(e.deptno=d.deptno);

  • cross join : 연결고리없이 전부 조인시키는 문법
select e.ename, d.loc
from emp e cross join dept d;

             .

             .

             .

'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그룹함수  (1) 2020.02.17
4. 변환함수 및 조건부 표현식 이용  (0) 2020.02.11
3. 단일행 함수  (0) 2020.02.05
2. 데이터 제한 및 정렬  (0) 2020.02.01
1. 데이터 검색  (0) 2020.01.17

 

그룹합수는 행 집합 연산을 수행하여 그룹별로 하나의 결과를 산출한다.

 

  • max 함수 : 최대값을 출력하는 함수
    ex) 최대 월급 출력
select max(sal)
from emp;

  • min 함수 : 최소값을 출력하는 함수
select min(sal)
from emp;

  • avg 함수 : 평균값을 출력하는 함수
select avg(sal)
from emp;

  • select 문의 6가지 절
    - 코딩순서 : select → from → where → group by → having → order by
    - 실행순서 : from → where → group by → having → select → order by
  • sum 함수 : 토탈값을 출력하는 함수
select sum(sal)
from emp;

  • count 함수 : 건수를 세는 함수
    ex) emp 테이블의 전체 건수를 확인
select count(*)
from emp;

    - count(*) 는 모든 컬럼을 하나씩 세는 것이므로 null 은 count 되지 않는다.

    ex) 그룹함수는 null 값을 무시한다.

select count(empno)
from emp;

select count(comm)
from emp;

함수의 종류

- 단일행 함수 : 문자, 숫자, 날짜, 변환, 일반

- 복수행 함수 : max, min, avg, sum, count 등

- 데이터 분석 함수 : rank, dense_rank, 누적 데이터 출력, pivot, unpivot, lag, lead, ntile, rollup, cube, grouping sets 등

  • rank 함수 : 순위를 출력하는 함수
    ex) 이름, 월급, 월급에 대한 순위를 출력한다.

select ename, sal, rank() over(order by sal desc) "순위"
from emp;
 

    ex) 공동순위

select ename, sal, dense_rank() over(order by sal desc) "순위"
from emp;
 

  • listagg 함수 : 데이터를 가로로 출력해준다.
select deptno, listagg(ename, ',') within group(order by ename asc)
from emp
group by deptno;
 

    - 이름을 ABC 순으로 정렬했다.

select deptno, listagg(ename,',') within group (order by sal desc)
from emp
group by deptno;
 

    - 이름을 월급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했다.

    - listagg 함수를 쓸 때는 group by 절을 꼭 써야 한다.

 

누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분석함수

select ename, sal, sum(sal) over(order by sal asc)누적치
from emp;
 

select ename, sal, sum(sal) over()누적치
from emp;

 

  • lag 함수, lead 함수 : 위의 행을 아랫 행에 출력하거나, 아래의 행을 윗 행에 출력하는 함수
select ename, sal,
    lag(sal,1) over(order by sal asc) lag_sal,
    lead(sal,1) over(order by sal asc) lead_sal
from emp;
 

  • rank 함수에서 over와 within group의 사용 : 대부분 over를 사용하지만 over()의 괄호 안에 해당하는 숫자의 순위를 보고싶을 때는 within group을 사용하고, listagg에서도 within group을 쓰고 대부분 over를 사용한다.
  • 결과 데이터를 가로로 출력하는 방법 : 주로 decode 를 사용한다.
select sum(decode(deptno, 10, sal, null))"10",
        sum(decode(deptno, 20, sal, null))"20",
        sum(decode(deptno, 30, sal, null))"30"
from emp;
 

  • pivot 문 : 세로를 가로로 출력한다.
select *
from(select deptno, sal from emp)
/* emp테이블에서 부서번호와 월급만 가져와서 그 결과를 테이블처럼 사용하겠다는 의미.
그룹함수를 사용하면 안되며, 함수를 쓰게되면 컬럼 별칭을 사용해야 한다.*/
pivot(sum(sal) for deptno in(10,20,30));
/*토탈월급을 출력 for 부서번호에 대한 in 10,20,30에 대한 부서번호*/

  • unpivot 문 : 가로를 세로로 바꾼다. 컬럼이 데이터가 된다.
select *
from emp
unpivot(cnt for item in (BICYCLE, CAMERA, NOTEBOOK));

원래 테이블
unpivot한 테이블

 

'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join  (0) 2020.03.17
4. 변환함수 및 조건부 표현식 이용  (0) 2020.02.11
3. 단일행 함수  (0) 2020.02.05
2. 데이터 제한 및 정렬  (0) 2020.02.01
1. 데이터 검색  (0) 2020.01.17

 

변환함수

- 데이터 유형 : 문자형, 숫자형, 날짜형

- 데이터 유형의 변환

    1. 암시적 형변환 : 오라클이 알아서 데이터 유형을 변환시키는 것

    2. 명시적 형변환

 

  • to_char 함수 : 숫자나 날짜를 문자형으로 형변환시키는 함수
select to_char(sysdate, 'day'from dual;

오늘 무슨 요일인지 출력

  • 문자형으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날짜 포맷
    - YYYY : 숫자로 된 전체 연도
    - YEAR : 영어 철자로 표기된 연도
    - MM : 월의 2자리 값
    - MONTH : 전체 월 이름
    - MON : 월의 3자 약어
    - DY : 3문자로 된 요일 약어
    - DAY : 요일의 전체 이름
    - DD : 숫자 형식의 월간 일

  • to_number 함수 : 숫자형으로 형변환하는 함수
  • to_date 함수 : 날짜형으로 형변환하는 함수
  • to_char 로 숫자를 문자로 변환하기 : 5600은 5,600으로 바꾸려면 숫자를 문자로 형변환 해야 한다.
select to_char(sal,'999,999'from emp;

- 9는 숫자를 나타내는데, 0부터 9까지 이 자리에 어떠한 숫자가 와도 상관없다.

- 9 : 숫자를 나타낸다.

- 0 : 0이 표시되도록 강제로 적용

- $ : 부동 달러 기호 배치

- L : 부동 로컬 통화 기호 사용

- . : 소수점 출력

- , : 천 단위 표시자로 심표 출력

 

  • to_date 를 이용하여 날짜 데이터를 검색
    - ex) 81년 12월 11일에 입사한 사월들의 이름과 입사일을 출력하는 방법
select ename, hiredate
from emp
where hiredate = to_date('81/12/11''RR/MM/DD');

    - 날짜를 검색할 때는 to_date 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함수중첩

합수는 중첩해서 사용할 수 있다.

ex) 오늘부터 100달 뒤에 돌아오는 월요일의 날짜를 출력한다.

select next_day(add_months(sysdate, 100), '월요일')
from dual;
 

 

일반함수

  • nvl 함수 : null value 의 약자로 null 값 대신에 다른 값을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nvl2 함수 :
    ex) 이름, 월급, 커미션, 월급+커미션을 출력한다
select ename, sal, comm, nvl2(comm, sal+comm, sal)
from emp;
 

    - comm 이 null 이 아니면 sal+comm 을 출력하고, comm 이 null 이면 sal 을 출력한다

 

  • nullif 함수 : 두 값이 같으면 null 을 출력하고, 두 값이 다르면 첫번째 값을 출력하는 함수

select first_name, length(first_name) as "first name",
    last_name, length(last_name) as "last name",
    nullif (length(first_name), length(last_name)) as "nullif"
from employees;
 

  • coalesce 함수 : 두 값이 모두 null 일 때 특정 값을 출력하는 함수
select ename, comm, mgr,
    coalesce (to_char(comm), to_char(mgr), 'no comm and no mgr')
from emp;
 

  • decode 함수 : SQL 로 if - then - else 문을 구현할 수 있는 함수이다. 파생변수 생성 시 중요한 함수.
    ex) 이름, 부서번호, 보너스를 출력하는데, 부서번호가 10이면 보너스를 4000을 출력하고, 부서번호가 20이면 3000을, 나머지 부서번호는 0을 출력한다.
select ename, deptno, decode(deptno, 1040002030000"보너스"
from emp;
 

  • case 문 : decode 는 equal (등호, = ) 비교만 가능하고 부등호 비교는 case 문을 사용한다.

'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join  (0) 2020.03.17
5. 그룹함수  (1) 2020.02.17
3. 단일행 함수  (0) 2020.02.05
2. 데이터 제한 및 정렬  (0) 2020.02.01
1. 데이터 검색  (0) 2020.01.17

 

함수의 종류에는 단일행 함수와 복수행 함수가 있다.

 

문자함수

  • upper 함수 : 대문자로 변환
select upper(ename)
from emp;
 
  • lower 함수 : 소문자로 변환
select lower(ename)
from emp;
  • initcap 함수 : 첫번째 철자를 대문자로 출력하고 나머지를 소문자로 출력
select ename, initcap(ename)
from emp;

  • substr 함수 : 특정 철자만 잘라낸다.
select ename, substr(ename, 1,3)
from emp;

    - 첫째자리부터 철자 3개 출력. 괄호 안의 숫자가 2, 2이면 둘째자리부터 2개 출력을 의미한다.

  • instr 함수 : 특정 철자의 위치번호를 알려준다.
select hiredate, instr(hiredate, '/')
from emp;

    - 위치번호를 셀 때, 0이 아니라 1부터 시작한다.

  • length 함수 : 철자의 갯수를 센다.
select job, length(job)
from emp;

  • trim 함수 : 특정 철자를 잘라낸다. 하나의 철자를 잘라낼 때는 trim 을 사용한다. 여러 개의 철자를 잘라낼 때는 rtrim 과 ltrim 을 사용하는데 rtrim 은 오른쪽에 있는 철자를 잘라내고, ltrim 은 왼쪽에 있는 철자를 잘라낸다.
select ename, trim('S' from ename)
from emp;

  • replace 함수 : 특정 철자를 다른 철자로 대체한다.
select sal, replace(sal,0,'*')
from emp;

  • regexp_replace 함수 : regular expression replace 함수는 정규표현식 함수라고 한다. 보통 replace 함수로는 볼 수 없는 결과를 보고자 할 때 사용한다.
  • concat 함수 : 두 컬럼을 연결한다.
select concat(ename, sal)
from emp;

  • lpad 와 rpad 함수 : 막대그래프처럼 데이터를 시각화 할 수 있다. pad 는 채워넣는다는 뜻으로, l 이 붙으면 왼쪽으로 채우고, r 이 붙으면 오른쪽부터 채운다.
select ename, lpad(sal, 10'*') salary
from emp;

    - 10자리를 잡고 sal 을 채운 뒤, 남을 자리를 왼쪽으로 *로 채우라는 뜻이다.

 

숫자함수

  • round 함수 : 숫자를 반올림하는 함수
select '787.567', round(787.567,-1from dual;

7(-3) / 8(-2) / 7(-1) / .(0) / 5(1) / 6(2) / 7(3) 으로 표시한다.

 

  • trucn 함수 : 반올림하지 않고 값을 버린다.
select trunc(787.567)
from dual;

  • mod 함수 : 나눈 나머지 값을 출력한다.
select mod(10,3from dual;

  • power 함수 : 지수함수를 구현한다.
select power(2,3from dual;

  • log 함수 : 로그 값을 출력한다.

날짜함수

    - 오라클에서 오늘 날짜를 확인하는 방법

select sysdate from dual;
  • 날짜의 연산
    - 날짜 - 숫자 = 날짜
select sysdate, sysdate+1, sysdate-1 from dual;

    - 날짜 + 숫자 = 날짜

    - 날짜 - 날짜 = 숫자

select to_date('20/02/05''RR/MM/DD'- to_date('20/02/01''RR/MM/DD'"날짜-날짜"
from dual;
 

  • months_between 함수 : 날짜와 날짜 사이의 개월 수를 출력
  • add_months 함수 : 특정 날짜에 개월 수를 더한 날짜를 출력
  • next_day 함수 : 특정 날짜에서 앞으로 돌아올 날짜를 출력
  • last_day 함수 : 특정 날짜 달의 마지막 날짜를 출력한다.
  • RR 날짜 형식과 YY 날짜 형식 : 연도에 따른 날짜 형식(RRRR, YYYY, RR, YY)
    RR 과 YY의 차이는 RR 은 현재에서 가장 가까운 연도를 출력하고, YY 는 현재 세기의 연도를 출력한다.
  •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세션의 날짜 형식을 확인하는 방법
select *
from nls_session_parameters;

  • 접속된 세션의 날짜형식을 YY/MM/DD 로 변경
alter session set nls_date_format='YY/MM/DD';

다시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세션의 날짜 형식을 확인하면 날짜형식이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join  (0) 2020.03.17
5. 그룹함수  (1) 2020.02.17
4. 변환함수 및 조건부 표현식 이용  (0) 2020.02.11
2. 데이터 제한 및 정렬  (0) 2020.02.01
1. 데이터 검색  (0) 2020.01.17

 

특정 데이터만 검색하고, 데이터를 정렬해서 출력한다.

 

Where 절

where 를 사용하여 특정 행만 검색 할 수 있다.

select ename, sal
from emp
where sal = 3000;

 

문자열 및 날짜를 검색하는 방법

날짜값은 형식을 구분하기 때문에 해당 나라의 날짜 형식에 맞춰서 데이터를 검색해야 한다.

select *
from nls_session_parameters;
[실행 결과]
NLS_DATE_FORMAT	RR/MM/DD

 

오라클 연산자의 종류 3가지

1. 산술 연산자 : +, -, *, /

2. 비교 연산자 : >, < >=, <=, =, !=, <>, ^=

3. 논리 연산자 : and, or, not

between .. and .. (두 값 사이, 경계값 포함), in / set (리스트 중 일치하는 값 검색), like (일치하는 문자 패턴 검색), is null (null 값 여부)

select ename, sal
from emp
where sal >= 3000;

실행순서 : from (테이블명) → where (검색조건) select (컬럼명)

같지 않다의 비교연산자는 !=, <>, ^= 가 있다.

 

기타 비교 연산자 between .. and ..

두 값의 범위 내에 있는 값을 검색하며, 경계값 또한 포함하여 검색한다.

select ename, sal
from emp
where sal >= 1000 and sal <= 3000;

월급이 1000에서 3000 사이인 사원들의 이름과 월급을 출력한다.

 

like

like 는 '~일 것 같은' 의 의미. %(와일드카드)는 이 자리에 무엇이 와도 관계 없고 철자의 갯수가 몇 개든 상관없다는 의미이다.

like 와 % 는 같이 쓰여야 하며, % 를 와일드카드로 인식하려면 = 연산자가 아닌 like 연산자를 사용해야 한다.

_ 는 철자의 갯수가 하나가 와야 할 때 사용한다. 철자의 갯수가 두 개라면 _ 를 두 개를 써준다.

select ename
from emp
where ename like 'S%';

S로 시작하는 이름을 검색한다.

 

in

하나의 값을 비교하여 검색할 때는 = 연산자를 사용하지만 여러 개의 값을 비교하여 검색할 때는 in 연산자를 사용한다.

select ename, empno
from emp
where empno in(77887902);

사원번호가 7788, 7902  인 사원의 사원번호와 이름을 검색한다.

 

is null

- null 값을 검색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 null 값은 알 수 없는 값이므로 =로 비교 할 수 없기 때문에 is null 로 비교한다.

 

select ename, comm
from emp
where comm is null;

커미션이 null 인 사원들의 이름과 커미션을 출력한다.

 

논리 연산자

- AND : 구성 요소 조건이 모두 참인 경우 TRUE 를 반환한다.

- OR : 구성 요소 조건 중 하나가 참인 경우 TRUE 를 반환한다.

- NOT : 조건이 거짓인 경우 TRUE 를 반환한다.

 

<진리표>

and true false null
true T F null
false F F F
null null F null
or true  false null
true T T T
false T F null
null T null null
not true false null
true F T null

 

연산자 우선순위

- 산술 연산자 → 연결 연산자 비교조건 is (not) null, like, (not), in (not) between 같지 않음 not 논리 조건  and 논리 조건 or 논리 조건

 

order by 

- 데이터를 정렬하는 절

select ename, sal
from emp
order by sal desc;

월급에 의해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 실행순서는 from → select order by 이며, order by 절은 항상 마지막에 실행된다.

- select 에 쓰여진 순서대로 order by 에서 숫자로 대체 가능 (1부터 시작)

select ename, sal
from emp
order by 2 desc;

 

치환 변수

- 값만 다르게해서 동일한 컬럼의 결과를 반복해서 봐야할 때 유용한 키워드

- 기호 &를 치환변수로 사용한다.

select empno, ename, sal
from emp
where empno=&empno;

 

- 치환 변수는 단순한 반복 SQL 을 간단하게 처리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열 이름, 표현식 텍스트 지정

select empno, ename, &컬럼
from emp
where &조건
order by &정렬컬럼;

 

이중 && 치환변수 사용

- 매번 값을 입력 할 필요없이 변수 값을 재사용하려는 경우 사용한다.

select ename, job, &&컬럼
from emp
order by &컬럼;

- 다시 실행하면 묻는 창이 없어지면서 바로 실행된다. 다시 물어보는 창이 나오게 하려면

define 
undefine 컬럼

을 실행시킨 후 select 문장을 드래그 한 후 실행한다.

 

verify 명령어

- 치환변수로 값을 넣어서 실행할 때 나오는 결과 중에 아래의 내용이 출력되지 않게 하는 명령어

- SQL Developer 에서는 실행되지 않는다.

'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join  (0) 2020.03.17
5. 그룹함수  (1) 2020.02.17
4. 변환함수 및 조건부 표현식 이용  (0) 2020.02.11
3. 단일행 함수  (0) 2020.02.05
1. 데이터 검색  (0) 2020.01.17

SQL 의 종류

1.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 데이터를 검색, 입력, 변경, 제거한다.

 - select, insert, update, delete, merge

2.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 테이블에서 데이터 구조를 설정, 변경, 제거한다.

 - create, alter, drop, truncate, rename, comment

3. DCL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어 :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거한다.

 - grant, revoke

4.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트랜잭션 제어 : DML 문으로 변경된 사항을 관리한다.

 - commit, rollback, savepoint

 

select 문은 데이터를 검색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select empno, ename, sal
from emp;

위 쿼리는 emp 라는 테이블에서 empno, ename, sal 이름의 컬럼을 검색한다.

select 뒤에 컬럼명 대신 *를 쓰면 모든 컬럼을 검색한다.

 

SQL 문 작성 시 가이드라인

1. SQL 문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2. SQL 문은 한 줄 또는 여러 줄로 입력 할 수 있다.

3. 키워드나 약어로 입력하거나 여러 줄에 걸쳐 입력 할 수 없다.

   (describe 같은 sqlplus 명령어는 약어로 사용가능)

4. 절은 대개 별도의 줄에 입력한다.

5.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들여쓰기를 사용한다.

6. SQL 문은 반드시 세미콜론으로 종료를 해야 한다.

 

컬럼명 기본값

1. 문자와 날짜 컬렴명은 왼쪽에 정렬된다.

2. 숫자 컬럼명은 오른쪽에 정렬된다.

3. 기본 컬럼명 표시는 대문자이다.

 

산술연산자

1.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로 구성

2. 산술연산자의 우선순위는 * 와 / 부터 실행된다.

 

NULL 값의 정의

1. null 값은 할당되지 않았거나 알 수 없는 값을 의미한다.

2. null 값 처리는 nvl 함수를 사용하는데, nvl(컬럼명, null 값에 대입할 값) 형식으로 사용한다.

ex)

nvl(comm, 0)

comm 이라는 컬럼에 있는 null 값을 0으로 대체한다.

 

컬럼명 변경

ex)

select ename as 

1. ename 이라는 기존의 컬럼명을 이름으로 변경한다.

2. 계산식에 유용하다.

3. as 는 생략이 가능하다.

4. 변경 시 공백과 특수문자를 포함하거나, 대소문자를 구분하려면 "" 를 사용해야 한다.

ex)

select ename as "Employee name!"

 

연결 연산자( || )

1. 열이나 문자열을 다른 열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ex)

selent ename || '학생의 전공은' || major || '입니다.'

2.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양쪽에 " " 를 입력해야 한다.

 

대체 인용 (q) 연산자

1. 문자열 안에 " " 를 넣어서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2. q '["    "]' 형식으로 사용한다.

ex)

select ename || q'[`s depot:]' || deptno

 

distinct

1. distinct 키워드는 중복행을 제거할 때 사용한다.

ex)

select distinct job

job 컬럼의 중복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한다.

 

describe

1. 테이블의 구조를 표시하는 명령어이며, desc로 축약이 가능하다.

ex)

describe emp;

emp 테이블의 구조를 확인한다.

'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join  (0) 2020.03.17
5. 그룹함수  (1) 2020.02.17
4. 변환함수 및 조건부 표현식 이용  (0) 2020.02.11
3. 단일행 함수  (0) 2020.02.05
2. 데이터 제한 및 정렬  (0) 2020.02.01

+ Recent posts